메모리C언어에서 메모리는 주로 다음 두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택 메모리(Stack Memory)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들이 저장함수가 호출될 때 자동으로 생성, 함수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소멸스택 메모리는 자동으로 관리되므로 프로그래머가 직접 해제할 필요가 없음.힙 메모리(Heap Memory)프로그래머가 직접 관리해야 하는 메모리 영역malloc, calloc 등의 함수를 사용하여 메모리를 할당받고, free 함수로 메모리를 해제프로그램 실행 중 언제든지 동적으로 할당하거나 해제 가능 메모리 관리C언어에서는 메모리를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메모리 해제를 누락)나 오버플로우(overflow, 할당된 메모리 범위를 넘어서는 접근)와 같은 문제를 조심해..
분류 전체보기
Java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메서드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메서드는 Java 프로그램의 진입점(entry point)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즉 Jav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가장 먼저 호출되는 메서드입니다. 이 메서드의 각 부분이 의미하는 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의 구성요소 public: 이 키워드는 메서드가 공개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JVM(Java Virtual Machine)이나 다른 클래스에서 이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main 메서드는 프로그램의 시작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공개되어야 합니다. 접근 ..
리액티브 시스템(Reactive System)이란? Reactive의 사전적 정의는 '반응성, 반응적인'입니다. 즉 리액티브 시스템(Reactive System)은 '반응하는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여러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아키텍트들에 의해 공동으로 작성된 리액티브 시스템 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 문서인 "리액티브 선언문(Reactive Manifesto)"을 통해 다음과 같은 4가지 특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반응성(Responsive): 시스템이 가능한 한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도 의미합니다. 회복력(Resilient): 시스템의 일부가 실패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의 가용성에 영향을 주..
useEffect와 side-effect useEffect 함수는 React에서 제공하는 훅(hook) 중 하나로, 함수 컴포넌트에서 부작용(side effect)을 수행하고,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 부작용이란 데이터 가져오기, 구독 설정, 수시로 발생하는 이벤트 처리 및 DOM 조작과 같은 함수가 실행되면서 함수 외부에 존재하는 값이나 상태를 변경시키는 등의 행위 등을 의미합니다. useEffect 사용법 기본 형태 useEffect(setup, dependencies) // 예시 useEffect(() => { console.log("effect 함수 실행"); }, []); 매개변수(Parameter) setup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실행할 함수 및 작업..
Context란? 리액트 Component간에 어떠한 값(value)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Context는 주로 데이터를 전역적(global)으로 관리하고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때 사용합니다. 컴포넌트에게 props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데이터를 넘겨주며 사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왜 Context를 사용해야 하는가? 깊숙이 위치한 컴포넌트에 prop을 전달하려면 여러 컴포넌트를 거쳐 연달아 props를 설정해줘야 합니다. 이런 prop drilling이라 불리는 복잡한 상황에서 해결책으로 Context가 등장합니다. 이를 통해 더 간편하고 가독성 있는 코드를 작성하여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Context 사용법 1. context 만들기 createContext(기본값..
useState란? useState는 React에서 상태(state)를 관리하기 위한 Hook 중 하나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useState를 사용하면 컴포넌트 내에서 상태 변수를 선언하고 해당 상태 변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상태가 변경될 때 React는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 합니다. Hook이란? React Hook은 React 버전 16.8부터 도입된 개념으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state) 및 생명주기 관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이전에는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만 상태 및 생명주기 관련 로직을 다룰 수 있었지만, Hook을 사용하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이러한 기능을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tate란? State는 컴포넌..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s)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은 ES6에서 새롭게 도입된 기능으로, JavaScript에서 문자열을 조립하고 다양한 값을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템플릿 리터럴은 백틱(backtick) 문자 (`)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를 통해 멀티라인 문자열과 변수 삽입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을 +로 일일이 연결해 줘야 하는 작업 불필요) 템플릿 리터럴 기본 문법 let a = "hello"; // 큰따옴표 let b = 'hello'; // 작은따옴표 let c = `hello`; // 백틱 (Template literals) console.log(a); // hello console.log(b); // hel..
단축평가 (short-circuit evaluation) 단축평가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논리 연산자를 사용할 때, 논리식을 최소한의 평가로 빠르게 결정하는 기술 또는 동작 방식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평가 결과가 확정된 경우 나머지 평가 과정을 생략하는 것입니다. 논리곱 And(&&)의 단축평가 &&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가 모두 true일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합니다. && 연산자는 왼쪽 피연산자와 오른쪽 피연산자가 모두 true일 때만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단축평가에서는 왼쪽 피연산자가 false인 경우 오른쪽 피연산자를 평가하지 않고 즉시 false를 반환합니다. 이로써 불필요한 연산을 피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조건 중 하..